• 아시아투데이 로고
[취재뒷담화]내년 3월로 미뤄진 대란설 걱정하는 2금융권

[취재뒷담화]내년 3월로 미뤄진 대란설 걱정하는 2금융권

기사승인 2020. 09. 22.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최소한 이자 납입은 할 수 있게 해줘야 부실채권에 미리 대비할 수 있을텐데….”

기자와 만난 한 금융권 관계자의 푸념입니다.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 장기화로 전 금융권 생계형 대출 수요는 예년보다 급증할 수밖에 없는 환경인데요. 이에 따라 금융당국 주도로 전 금융권은 고통분담 차원에서 코로나19 금융지원 방안으로 대출 원금 상환과 이자 납입을 유예해주기로 한 바 있죠. 유예기간은 기존 6개월에서 추가로 6개월 더 연장돼 최장 내년 3월까지 총 1년입니다.

다만 카드론이나 저축은행 중금리 대출, 보험 약관 대출 등 2금융권에 기대는 차주들의 신용등급과 상환 능력이 1금융권인 은행 고객들보다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점이 2금융권의 공통된 고민거리가 됐죠. 은행에서 대출이 거절됐거나, 은행에서 빌린 돈보다 더 많은 액수를 끌어다 쓰는 다중 채무자들이 2금융권의 주요 대출 고객들인 탓입니다.

2금융권 대부분이 올 상반기 동안 코로나19 사태에도 예상보다 높은 실적을 기록했지만 근심이 가득한 배경이기도 합니다. 현재 대출 원금 상환과 이자 납입까지 모두 유예된 상태인지라 연체율이나 부실채권비율 등이 제대로 반영되지도 않은 상태이기 때문이죠. 부실채권비율이 제대로 잡히지 않으니 대출 원금이 떼일 상황에 대비해 미리 자금을 쌓아두는 개념인 대손충당금 역시 제대로 반영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된 것입니다. 당장은 괜찮지만 상환 유예 기간이 끝나는 내년 3월 이후가 더 걱정이라는 지적이 괜한 ‘기우’가 아니라는 얘깁니다.

여기에다 부동산과 주식투자 수요도 폭발하면서 ‘빚투(빚내서 투자하기)’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 열풍으로 신용대출 증가세는 심상치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죠. 이를 지켜보던 금융당국이 우선 고신용·고소득자들을 대상으로 대출을 제한하는 핀셋 규제를 내놓긴 했습니다만, 그 공이 2금융권으로 튀어 풍선효과가 나타날 지는 모를 일이죠. 상환을 유예해주거나 아예 대출을 틀어막는 것 자체가 능사는 아닌 만큼 그 어느 때보다도 건전성 관리가 더욱 중요해진 시점입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