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김재구 칼럼]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 위기 속 인재 개발의 방향

[김재구 칼럼]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 위기 속 인재 개발의 방향

기사승인 2021. 02. 22. 18:2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와 함께하는 4차 산업혁명의 의미<14>
김재구 교수
명지대 경영대 교수
4차 산업혁명의 물결은 인간의 창의성과 자율에 기반한 경제사회시스템만이 번영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오늘날 MZ세대의 의식과 라이프 스타일을 이해하고, 개인의 개성과 함께 다양성을 포용할 수 있는 기업만이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4차 산업혁명에서 경제나 비즈니스의 변화는 기존의 연장선이 아니라 불연속적인 것이다.

따라서 예측에 기반한 관리가 아니라 새로운 것의 창조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자신의 가치와 이루고자 하는 목적을 분명히 하고, 당장 수중에 있는 자원으로 즉각 실행에 옮기는 기업가정신이 필요하다. 최적화보다는 시도와 실험을 통해 학습하는 마인드와 실패를 허용하여 더 나은 상태로 변화시키는 게 가능한 환경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들이 모여 기업가정신에 의해 창의가 발현되는 생태계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가운데 닥쳐온 코로나19 위기는 환경위기 등에 대한 경각심과 함께 사회적 가치, 환경·사회·지배구조(ESG)에 대한 관심을 폭발시켰다. 글로벌 가치사슬의 붕괴, 비대면 서비스의 약진 등 기술 관련 디지털 혁신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교육, 노동, 산업구조 전반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보건의료 관련, 돌봄, 배달노동자 등 필수노동자들 그리고 소외된 노동자들의 근로조건을 개선하고 산업재해를 방지해야 한다는 요구도 터져 나오고 있다.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 사태로 일자리와 생명이 위기에 몰렸을 때 우리는 보건의료, 일자리, 사회안전망에 주목하게 된다.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포용적인 사회안전망 구축,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인재에 대한 투자가 꼭 필요하다. 공공성에 입각해 과감하게 인재투자를 할 때, 디지털, 그린 및 신기술 분야의 핵심인재들이 양성된다. 그래야 일자리를 통한 복지, 나아가 학습과 직업능력개발을 통한 고용과 복지를 달성할 수 있다.

인재개발 투자는 시민들의 역량을 강화해서 고용가능성을 높이고, 나아가 복지와 안전을 제공한다. 이는 포용성장을 이끌 수요 측면에서도 중요하지만, 공급 측면의 혁신성장에 있어서도 참여를 통한 창의성의 발휘와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인재개발 투자를 국가의 경제사회정책과 연계시키는 혁신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고용창출은 물론 시민사회의 성장, 사회적 경제의 활성화, 지역균형 발전 등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포용경제의 주체로 등장한 사회적 경제는 1997년 IMF사태와 2008년 금융위기 등 국내외 경제위기 극복에서 유효성을 입증한 바 있다. 국가와 시장의 실패를 극복하는 사회적 경제는 기존의 고용·복지 정책을 혁신할 수 있고, 지역공동체 개발과 사회혁신의 전략적 파트너가 될 수 있다. 복지 정책에서는 공공성을 갖춘 민간들, 대표적으로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들을 활성화하여 전달체계를 혁신하고, 효과적인 일자리 창출을 기하는 것으로 가야 한다.

시민이 주체가 되어 공공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정부와 공공부문을 과감하게 재조직화해야 한다. 그런 과감한 전환을 통해 성장한 시민사회 속 사회혁신 주체들이 정부와 공공기관, 민간 기업들 등 기존의 주체들과 함께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해나가야 한다. 이런 시민의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2021년 3월 국회에서 사회적경제기본법, 공공기관의 사회적가치기본법을 통과시킬 것을 촉구한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