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사설] 미국 국채 발 인플레 우려에 선제적 대비를

[사설] 미국 국채 발 인플레 우려에 선제적 대비를

기사승인 2021. 03. 01. 18:19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미국 국채금리가 급등하고 있어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우려되고 있다. 지난주 내내 우리 증시가 약세를 면치 못하고 은행권 실질금리가 들썩거린 것도 이 여파로 보인다. 코로나19로 그간 각국이 천문학적 규모의 돈을 푼만큼 전례 없는 인플레이션의 가능성도 없지 않다. 정부와 금융당국 등은 금리, 주가, 물가 등 시장 동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우리 경제의 연착륙을 위한 방안 마련에 나서야한다.

일반적으로 장기국채 금리의 상승은 경기 회복의 신호로 해석된다. 문제는 최근 미 국채금리 급등의 속도가 너무 가파르다는 점이다. 미 연준이 인플레이션 전망을 진정시키려고 하는데도 월가에서 인플레이션 전망이 확산되고 있다. 국제 금융시장의 바로미터인 미 국채 금리의 급등세는 글로벌 초저금리 기조를 송두리째 흔들고 주가 하락, 물가 상승 등 나비효과를 불러 기업과 가계에 직격탄이 될 수 있다.

가뜩이나 가계부채율이 높은 한국으로서는 인플레이션이 현실화할 경우 그 충격파는 가늠하기 어렵다. ‘빚투’가 유행하던 지난해 국내 가계 빚은 100조원 넘게 늘어 총 1700조원을 넘어섰다. 인플레와 금리 상승 우려로 주가가 떨어지면 그간 초저금리와 유동성에 기대어 빚투에 나섰던 가계의 위험은 커질 수밖에 없다. 경기가 조금씩 회복되고 있지만 급격한 이자부담 급등은 기업들을 한계상황으로 내몰 수 있다.

인플레이션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아직은 크지 않다. 이를 우려해서 미 연준이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에 나서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도 나온다. 하지만 최근 은행권 실질금리가 오르고 증시가 약세로 돌아선 것 등은 분명 예전과 다른 이상 신호다.

정부와 한국은행을 비롯한 정책당국이 무엇보다 인플레이션과 금리 급등에 따른 경제의 경착륙을 막고 연착륙에 나설 필요가 있다. 주가, 금리, 물가에 대한 시장 모리터링을 강화하고, 개인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포함한 가계대출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 외환위기의 쓰라린 경험을 되새겨, 만일의 상황에서도 시장과 경제 충격을 최소화할 연착륙 시나리오를 마련해 놔야 한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