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서울시 32년 만에 인구 1000만 붕괴…저출산·고령화 영향

서울시 32년 만에 인구 1000만 붕괴…저출산·고령화 영향

기사승인 2021. 03. 03. 14: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서울시청
서울시는 내국인 주민등록인구와 외국인 등록인구를 집계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서울 인구는 991만1088명으로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32년 만에 1000만명 아래로 떨어진 것이다./아시아투데이DB.
‘천만 서울’로 불리던 서울시 인구가 1988년 이후 32년 만에 1000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서울시는 내국인 주민등록인구와 외국인 등록인구를 집계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서울 인구는 991만1088명으로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전년대비 내국인은 약 6만명(-0.62%), 외국인은 약 4만명(-13.93%)이 감소했다.

내국인 인구는 이미 2016년부터 1000만명 미만을 기록했으나,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외국인 인구까지 줄어든 것이 전체 인구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시는 분석했다. 또한 저출산과 고령화의 급속한 진행도 영향을 미쳤다.

연령별 인구는 25-29세 인구가 85만8648명으로 가장 많고, 45-49세(81만9052명), 50-54세(80만7718명)가 뒤를 이었다. 특히 0~4세 인구가 10.26% 감소한 반면, 85~89세 인구는 11.42% 증가해 급격한 저출산·고령화 현상을 보여줬다.

내국인 인구를 10년 전과 비교해 보면 64세 이하 인구는 120만명 감소한 반면, 65세 이상 인구는 56만명이 증가해 고령화 추세가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고령화율(총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비)은 2010년 9.5%였으나 2018년 14.1%로 고령사회로 들어섰으며, 지난해는 15.8%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65세이상 인구는 156만8331명으로 전년대비 비중이 1.0%(14.8%→15.8%) 증가했다.

생산가능(15~64세) 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할 인구(14세 이하, 65세 이상)를 나타내는 총부양비는 35.2명으로 전년대비 1.3명 증가했다. 유소년(14세 이하)부양비는 13.8명으로 전년대비 0.3명 감소한 반면, 노년(65세 이상)부양비는 21.4명으로 전년대비 1.5명 증가했다. 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 수를 나타내는 노령화지수는 154.9명으로 전년대비 13.7명이 증가했다.

코로나 팬데믹 영향으로 외국인 등록인구는 24만2623명으로 전년대비 13.93% 감소했다. 국적별로 보면 중국(한국계 포함) 국적 외국인이 전년대비 3만2070명 급감한 반면, 베트남(+133명)과 몽골(+270명) 국적은 증가를 보여 대조를 이뤘다.

반면 내국인 세대수는 441만7954세대로 전년대비 9만349세대(2.09%) 증가하여 증가추세를 이어갔다. 세대당 인구는 2.19명으로 전년대비 0.06명 감소했다. 1∼2인 세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63.8%로 전년(61.8%)대비 2.0% 증가했다. 1인 세대 비율이 높은 구는 관악구(58.3%), 종로구(51.1%), 중구(50.7%)순이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인구변화가 가져 올 사회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련 정책을 지속적으로 마련해 나겠다“며 “더욱이 가속화 되고 있는 저출산과 고령화 등 인구구조의 변화를 면밀히 파악하고 대비하기 위해 인구통계를 시의 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