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김효겸 칼럼] 4차 산업혁명과 대학

[김효겸 칼럼] 4차 산업혁명과 대학

기사승인 2021. 04. 12. 18:22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와 함께하는 4차 산업혁명의 의미<16>
김효겸 (전 대원대 총장)
전 대원대 총장
4차 산업혁명과 대학은 불가분의 관계라고 말할 수 있다. 대학에서 양질의 인적자원을 길러 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학이 4차 산업혁명을 성공적으로 대응하고 인재를 양성하기에는 현재의 대학의 형편이 너무도 어려운 실정이다. 부존자원이 없는 우리나라는 인적자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인재를 길러내는 340여 개 대학 중 80%가 사립대학인데 이들 사립대학이 심각한 재정난에 허덕이고 있다. 이 중 일부 10여 개 사립대학은 적립금이 수천억원에 달하지만 대부분의 사립대학들은 13년 동안의 등록금 동결로 극심한 재정난에 빠져있다. 이 점을 정책당국은 직시하기 바란다.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기 위해 세계 각국이 피나는 경쟁을 하고 있다. 선도국은 쥐고 있던 주도권을 잃지 않기 위해, 또 후발국들은 선도국을 따라잡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각국이 살아남기 위한 전쟁을 벌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미국은 4차 산업혁명의 전반적인 분야에 비교우위가 있는데 특히 빅데이터 활용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비해 독일은 사물인터넷(IoT)을 기반으로 생산, 서비스, 물류 통합관리 스마트공장 구축에 비교우위를 점하고 있다. 일본은 저출산·고령화에 대비한 로봇산업에서 앞서고 있다. 중국은 후발주자로서 ‘중국제조 2025’ ‘인터넷플러스 전략’ 등을 통해 로봇, 인공지능 투자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독일은 4차 산업혁명에 가장 근접해 있는 국가 중 하나다. 미국의 차기 주자로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제조업이 국내총생산(GDP)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독일은 ‘인더스트리 4.0’이라는 프로젝트를 만들며 4차 산업혁명에 뛰어들었다. 독일 기업들의 상당수가 스마트공장 기술을 생산현장에 적용하고 있는 중이다.

후발주자인 중국도 4차 산업혁명에 잘 대비하고 있는 국가 중 하나다. 국가별 4차 산업혁명 적응 순위에서 중국은 28위로 25위인 한국을 바짝 뒤쫓고 있다. 중국 정부는 독일의 인더스트리 4.0을 모델로 한 ‘중국제조 2025 행동계화’를 국가 전략으로 삼았다. 세계의 하청 공장을 벗어나 로봇, 인공지능 등에 투자를 강화하고 2035년까지 선두주자인 미국과 독일 그리고 일본을 따라잡겠다고 선언했다.

우리는 이와 같은 각국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워야한다. 특히 독일은 대기업, 대학, 연구기관, 중간조직 등을 연계한 범국가적 프로젝트(industrie)를 통해 글로벌 생산체계의 구축과 IoT·CPS 분야에서의 글로벌 표준의 선점에 나서고 있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라파엘 라이프 MIT 총장은 ‘대학, 변화를 선도하는 엔진’이라는 주제로 인류의 주요 도전과제 해결에 대학이 기여할 수 있는 역량에 대해 강조했다. 또한 미래지향적·인간적·과학 중심적 리더십의 중요성과, 교육·연구·산학협력·사회봉사를 중심으로 한 대학의 변화와 혁신을 강조했다.

정부는 4차 산업혁명의 주도적인 인적자원을 길러내는 대학이 제 역할과 사명을 다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독일은 대기업과 대학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한 범국가적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데, 이런 프로젝트가 4차 산업혁명에서 핵심적 역할을 해내는 인재를 길러낸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 우리나라 정부도 독일의 4차 산업혁명에서 대학이 맡는 이런 역할에 주목해서, 한국의 대학들도 그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주고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