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HK이노엔, 케이캡 PPI제품 대비 간 독성 위험 27% ↓ 확인

HK이노엔, 케이캡 PPI제품 대비 간 독성 위험 27% ↓ 확인

기사승인 2022. 11. 28. 10:1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사진
김종승 전북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가 23~25일 열린 대한의료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사진=HK이노엔
HK이노엔의 P-CAB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이 PPI계열 제품 보다 독성 위험이 덜 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HK이노엔은 23~25일까지 전북대학교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2년 대한의료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P-CAB계열의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과 타 회사 PPI계열 제품들의 간 독성 위험을 비교한 'P-CAB과 PPI의 간 독성 위험 비교: 추적관찰 코호트'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28일 말했다.

이번 연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빅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한 것으로, 김종승 전북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교수가 발표했다. 김 교수 연구팀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에 쓰이고 있는 약물들이 간 기능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약물 간 위험성을 비교한 결과, 케이캡정은 다른 PPI계열 약물들에 비해 간 독성 위험이 27% 낮은 것으로 나타나 PPI 약물 6종 대비 낮은 간 독성 위험률을 보였다.

이번 발표를 계기로 향후 신약 가치를 더욱 높이는 빅데이터 연구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제약바이오기업 및 학교, 연구기관, 병원 등에서는 질환 발생 추이를 분석하거나 신약 개발 전략을 수립하는데 보건의료빅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 실제 처방환경에서 축적된 빅데이터를 통해 기존 PPI계열 제품 대비 신약 케이캡의 안전성을 재확인함으로써 향후 신약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하는 다양한 빅데이터 연구가 펼쳐질 것으로 회사 측은 예상했다.

실제 교수 연구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5000만명을 대상으로 2019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P-CAB계열 신약 케이캡정(성분명 테고프라잔) 또는 PPI약물 6종(덱스란소프라졸, 에소메프라졸, 란소프라졸, 판토프라졸, 라베프라졸, 오메프라졸)을 2개월 이상 연속해서 처방 받은 환자 데이터를 추출해 간 질환 유병율 및 간 독성의 다양한 위험요인을 분석했다. 648만7583건의 사례 중 연구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항생제 복용 이력·, 나이 등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를 모든 동일한 조건에서 매칭한 후 최종 173만7176건을 분석했다.

김 교수는 "기존 P-CAB계열은 간 독성 이슈가 있었는데 케이캡은 이번 연구로 간 독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전국민 대상 실 사용 데이터를 통해 약물의 부작용을 진행한 연구로, 신약 임에도 비교적 빠른 데이터 접근과 분석을 통해 의미 있는 결론을 도출한 것"이라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