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근무 기간이 6개월 이상인 인턴의 채용 실적이 경영평가에 반영된다. 공공기관의 장기 인턴 채용을 확대하기 위해서다.
22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임기근 재정관리관은 이날 무역보험공사에서 '공공기관 부기관장 및 청년인턴과 대화'를 갖고 이런 내용의 제도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임 재정관리관은 "청년에게는 업무경험과 취업 가능성을 높이는 기회가 되고 공공기관에는 아이디어 발굴과 업무경감의 기회가 되기 위해서는 6개월 이상 청년인턴 확대와 인턴제도 운영 내실화가 중요하다"면서 "이를 위한 제도적인 지원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기재부는 6개월 이상 인턴을 채용한 공공기관의 실적을 경영평가에 반영하는 등 인센티브를 강화한다. 또한 인턴책임관 지정, 인턴 수료증 차등화, 인턴 운영 우수 공공기관 부총리 포상 신설 등을 통해 청년인턴 제도를 내실화할 계획이다.
기재부에 따르면 정부의 청년인턴 확대 정책으로 6개월 이상 청년인턴을 채용한 공공기관은 지난해 38개에서 올해(8월말 기준) 156개로 증가했다. 채용인원도 989명에서 6420명으로 크게 확대됐다.
기재부는 청년 인턴과의 대화를 신설·정례화해 인턴제도 발전을 위한 의견과 건의사항을 논의하고, 공공기관 운영에 있어 청년층의 아이디어·시각을 수렴하는 창구로 활용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