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후 미분양 증가로 유동성 위기 높아져 7월 수도권·지방 6만3087가구 미분양 건설사 폐업 신고 408건으로 1년 새 2배 증가
basic_2021
1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증가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경색 등으로 인해 중견·중소 건설사를 중심으로 유동성 위기가 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올해 들어 폐업을 신청하는 건설사들도 크고 늘고 있다.
25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전국 미분양 가구 수는 6만3087가구로, 이 가운데 수도권(서울·인천·경기) 미분양 가구 수는 8834가구다. 나머지 5만4253가구는 지방에 몰려 있다. 전체 미분양 가구에서 85%를 차지했다.
지방에선 청약 접수가 단 1건도 없는 단지를 적지 않다. 지난 6월 경남 밀양 '수에르떼 밀양'은 45가구 모집에 1순위 청약자가 1명도 없었다. 이에 앞서 지난 3월 공급한 '경산 서희스타힐스'도 64가구 모집에 5명이 신청해 평균 경쟁률이 0.07대 1에 불과했다.
특히 공사가 끝난 뒤에도 분양되지 못해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후 미분양'은 건설사에 자금 경색을 불러오는 주범으로 널리 알려졌다. 올해 7월 기준 전국에 걸쳐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9041가구에 달했다. 분양되지 못한 이들 주택은 지속적으로 건설사들의 재무건정성을 위협한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중견·중소건설사의 폐업 신고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1월부터 이달 25일까지 집계한 종합건설사의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총 408건으로 2006년 435건 기록 후 최대치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211건)에 비하면 거의 2배 가까이 늘었다.
미분양 위험을 안고 있는 상황에서 주택 공급량이 계속 늘어날 가능성은 크지 않다. 이는 주택·건설경기 선행지표인 인허가 실적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올해 1~7월까지 전국 주택 인허가 실적은 20만7278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29만5855가구)에 비해 29.9% 줄었다. 인허가 실적 감소는 지방 뿐만 아니라 수도권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지방은 인허가 물량이 18만5920가구에서 12만8389가구로 1년 만에 30.9% 줄었다. 수도권은 지난해 10만9935가구에서 올해 7만8889가구로 3만가구 이상 감소했다.
준공 후 미분양 주택도 1월 7546가구에서 2월 8554가구로 급격하게 늘다가 6월에 9399가구로 정점을 찍다가 7월 9041가구로 소폭 떨어졌지만 2월과 6월에 급증한 것과 비교하면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일부 중견건설사는 주택 특별공급 세부 운영 기준 위반 등으로 영업정지 처분을 받으면서 이중고를 겪고 있다. 영업정지 처분이 내려지면 신규 수주 차질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박철한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공사비와 함께 금융비용 상승으로 건설업계 전반에 자금 조달 여건이 악화된 상태"라며 "중소·중견 건설사의 경우 신용도가 낮아 좋지 않은 조건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밖에 없는데 미분양 리스크까지 해소되지 않으면 어려움은 가중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