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기자의눈]1997년의 한보철강, 2022년의 푸르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toopho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21026010013293

글자크기

닫기

최성록 기자

승인 : 2022. 10. 27. 06:00

01
1997년 11월의 기억은 생생하다. 외환위기(IMF) 사태로 멀쩡한 직장인이 거리에 나 앉게 될 수도, 국가가 망할 수 있다는 공포가 온 사회를 휩쓸었다.

재계순위 30대 기업 중 무려 11개 기업이 사라졌다. 대기업들이 갈리는 마당에 중소기업들이 온전할리 없었다. 중소기업 사장님과 자영업자들이 하루아침에 노숙자로 변했다. 직원들은 일용직이나 아르바이트를 전전해야만 했다.

IMF의 시작은 그 해 1월 한보철강의 부도였다. 곧바로 삼미, 진로, 삼립식품, 한신공영, 기아 등이 뒤를 따랐다. 대기업들의 도산 말고도 불행의 조짐은 또 있었다. 우리나라는 이미 전년도에 GDP의 5%에 달하는 경상수지 적자를 맞았다.

2022년 11월 푸르밀이 사업을 접는다. 오너가가 경영을 맡은 후 지속된 적자를 더 이상 버티지 못해서다. 레고랜드 부도 역시 우리나라 채권시장을 순식간에 얼어붙게 만들었다. 공교롭게도 우리나라의 경상수지 상황도 좋지 않다. 만약 이달까지 무역수지 적자가 계속된다면 7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하게 된다. 역시 1997년 이후 25년 만이다.

푸르밀과 레고랜드, 무역 적자 때문에 IMF위기가 다시 온다는 말이 아니다. 외환보유고는 충분하고 기업들 역시 비상사태에 대해 철저히 대응 하고 있다.

외환위기보다 더 큰 문제는 국민들과 기업들의 심리다. 경제는 생물이다. 분위기 한방에 반전할 수도, 끝을 모르는 나락에 빠질 수도 있다. 최근 '돈맥경화'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가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을 '50조원+α 규모'로 확대한다. 잘한 일인지, 못한 일인지는 역사가 평가할 것이다.

중요한 건 경제를 살리기 위해 할 수 있는건 다 해야 한다는 점이다. 관계부처 간 긴밀한 정책공조는 물론, 기업들과 충분한 소통을 통한 선제적인 시장안정조치가 절실하다. 정책은 타이밍이다. 늦어도 서둘러서도 안된다. 1000개의 시나리오가 있다면 전부 검토하고 모두가 생존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야 한다.
최성록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지안컴퍼니 뷰티풀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