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美서 한미·한일 연쇄 협의, 韓에선 러 초치…강경 대응

美서 한미·한일 연쇄 협의, 韓에선 러 초치…강경 대응

기사승인 2024. 06. 21. 15:0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0011746124_001_20240621124619659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제3차 민주주의 정상회의 참석차 방한한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오찬을 겸해 열린 한·미 외교장관 회담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공동취재단
정부는 일본과 미국 외교당국과 연쇄 유선 협의를 가지며 북한과 러시아가 군사동맹에 준하는 협력을 골자로 하는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을 체결한 데 대한 대응방안을 협의했다. 우리 정부는 또 이날 주한러시아대사를 초치하는 등 외교 강경 대응에 나섰다.

푸틴, 평양 도착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새벽 북한 평양에 도착해 국빈 방문을 시작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우리 나라를 국가방문하는 로씨야련방 대통령 평양 도착, 경애하는 김정은동지께서 울라지미르 울라지미로비치 뿌찐동지를 뜨겁게 영접하시였다"고 보도했다. /연합뉴스
21일 외교부에 따르면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20일(현지시간) 밤 뉴욕에서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상과 연쇄 유선 협의를 가졌다.

조 장관은 블링컨 장관과 통화에서 "북한의 군사력 증강에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는 어떠한 협력도 명백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미가 국제사회의 단호한 대응을 주도하기 위해 긴밀히 공조하자고 하고, 대북 독자제재와 대러 수출통제 품목 신규 지정 등 정부가 전날 발표한 대응조치를 설명했다.

블링컨 장관은 미국은 한국측이 안보 위협에 대응해 취하는 정당한 조치를 적극 지지한다며, 굳건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그 어떠한 위협에도 함께 단호히 대응하자고 했다.

2024052201001894200117121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지난달 22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상과 통화하고 있다. /제공=외교부
조 장관은 가미카와 외무상과 통화에서도 "북한의 군사력 증강에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는 어떠한 협력도 명백한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며 "우리 정부의 대응 조치를 설명했다.

그러면서 조 장관이 "향후 국제사회의 단호한 대응을 견인하기 위해 양국을 비롯한 한·미·일 3국 간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야 한다"고 공언한 데 대해 가미카와 외무상은 "적극 공감한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양 장관은 또 러시아와 북한이 '포괄적 전략자 동반자 관계 조약'을 통해 상호 군사 경제 협력을 강화하기로 한 점을 두고 "한반도 및 역내 평화 안정에 위협을 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3국 장관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을 무력화하고 러북 군사협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한미일 안보협력을 지속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외교부 초치 된 주한러시아대사<YONHAP NO-4432>
게오르기 지노비예프 주한 러시아 대사가 2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으로 들어서고 있다. 외교부는 이날 북러 조약에 항의하며 게오르기 지노비예프 주한 러시아 대사를 초치했다./연합뉴스
이런 가운데 김홍균 외교부 제1차관은 이날 오후 2시 게오르기 지노비예프 주한러시아대사를 서울 외교부 청사로 불러 북러 조약 체결 및 군사협력에 대한 정부 입장을 전달했다.

김 차관은 북한의 군사력 증강에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어떠한 협력도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는 점을 지적하며, 러시아가 북한과 군사 협력을 즉각 중단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를 준수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또 북한이 수십 년간 불법적인 핵·미사일을 개발해오면서 한국에 대한 핵 사용 위협도 서슴지 않고 있다며, 한국은 자국 안보를 위협하는 어떠한 행위에 대해서도 국제사회와 함께 단호히 대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안보리 결의를 어기고 북한을 지원함으로써 한국 안보에 위해를 가해오는 것은 한러 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는 점을 분명히 지적하고, 러시아에 책임 있게 행동할 것을 요구했다.

지노비예프 대사는 한국 정부의 입장을 주의 깊게 들었으며, 이를 본국에 정확히 보고하겠다고 했다.

앞서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은 전날 국가안보회의 상임위원회를 주재한 뒤 언론 브리핑을 통해 대북 독자제재와 대러 수출통제 확대 조치를 발표하고 러시아의 레드라인인 '대(對)우크라이나 살상무기 지원 문제'를 재검토하겠다고 했다.

우리 정부의 강경 대응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공급하면 큰 실수가 될 것이라며 보복을 시사한 상황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