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생포 북한군 “러시아에 훈련 온 줄 알았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toopho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112010005707

글자크기

닫기

최효극 기자

승인 : 2025. 01. 12. 13:58

각각 20·26세 우크라군에 생포돼
젤렌스키 "전 세계가 진실 알아야"
러 가짜 군용 신분증 등 영상 공개
"북한군 심문, 국정원이 통역 지원"
북한군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생포해 키이우로 이송, 심문하고 있다며 텔레그램에 게재한 사진./젤렌스키 대통령 텔레그램 캡처
우크라이나 보안군(SBU)은 성명을 통해 우크라이나군에게 포로로 잡힌 북한군 병사 중 1명이 조사 과정에서 자신이 우크라이나와 싸우기 위해 파견된 것이 아니라 러시아로 훈련을 받으러 간다고 생각했다고 진술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각각 2005년과 1999년에 태어나, 2021년과 2016년부터 북한군에서 복무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로이터통신이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 지역에서 북한 군인 2명을 생포해 심문하고 있다고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텔레그램·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우리 군이 쿠르스크 지역에서 북한군 병사들을 생포했다"며 "2명의 병사는 다쳤지만, 생존해 키이우로 이송돼 우크라이나 보안국(SBU)과 소통하고 있다"고 전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어 "모든 전쟁 포로처럼 이 2명의 북한 병사들도 필요한 의료 지원을 받고 있다"며 "나는 SBU에 이 포로들에 대한 기자들의 접근을 허용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전 세계가 지금 벌어지고 있는 일에 대한 진실을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군과 다른 북한군이 북한군의 우크라이나 전쟁 개입 증거를 없애기 위해 부상자들을 처형하기 때문에 북한군 생포가 쉬운 과제가 아니었다"고 평가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 같은 메시지와 함께 치료 후 수용시설 내 침대에 있는 포로 2명과 수용실 모습, 가짜 군용 신분증 등을 게재했다. 군용 신분증은 1994년생 안톤 아리우킨이라는 이름으로 발급됐고, 러시아 시베리아 남부 투바 공화국에서 발급한 것으로 돼 있다. 투바 공화국의 군용 신분증은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이 위장 신분증으로 사용한 몇몇 사례가 드러나기도 했다.

우크라이나군에 생포된 북한군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생포해 키이우로 이송, 심문하고 있다며 텔레그램에 게재한 사진./젤렌스키 대통령 X 캡쳐/ 연합뉴스
SBU는 이들이 우크라이나어, 러시아어, 영어를 구사하지 못해 심문은 한국어로 진행되고 있으며, 한국 국가정보원(NIS)의 도움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SBU가 게시한 영상에는 포로로 생포된 두 남성이 등장했다. 1명은 턱 부위에 부상을 입어 붕대를 감고 있었고, 다른 1명은 빨대를 통해 음료를 마시는 모습이었다. SBU 영상에서 인터뷰에 응한 의사는 이름과 얼굴이 공개되지 않았으나, 한 병사는 얼굴 부상을 입어 치과 치료를 받을 예정이며, 다른 병사는 개방성 상처와 하퇴부 골절을 입었다고 밝혔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 전쟁을 지원하기 위해 파병된 북한군 약 1만1000명 가운데 생포된 북한군이 생존해 우크라이나의 심문을 받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크라이나는 지난달 쿠르스크에서 북한군 1명을 생포했다면서 해당 병사의 사진을 공개했고, 국가정보원은 이 병사가 부상 악화로 붙잡힌 지 하루 만에 사망했다고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후에도 우크라이나군이 다친 북한군 몇 명을 생포했으나 심각한 부상으로 모두 사망했다고 말한 바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 9일 독일 람스타인 공군기지에서 "북한이 현대적인 전쟁 방법을 습득하고 있다"며 "국민을 소중히 여기지 않는 그들이 지금까지 4000명(사상자)을 잃었다"고 밝혔다.

아울러 그는 5일 미국 팟캐스트 렉스 프리드먼 인터뷰에서 북한이 3만~4만명의 추가 병력을 전선으로 보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최효극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