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장용동 칼럼] 스마트 하우징과 주거 서비스 산업화의 선결과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toopho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501010000394

글자크기

닫기

 

승인 : 2024. 05. 01. 18:08

2024041701001683500099111
장용동 한국주거복지포럼 상임대표
스마트 하우징 및 주거 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증가하면서 관련 산업화가 활발하다. 특히 AI 기반의 급속한 기술 발전과 더불어 주거생활 부문의 응용이 새롭게 부상, 혁신적인 스마트 주거 서비스 공급기반이 형성되고 있다. 다시 말해 AI 기술 등을 통해 주거 서비스의 첨단화와 종합적인 기술 적용이 가능해지고 프롭테크의 새로운 분야로 인식되면서 산업화로의 진전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 들어 관련 서비스 협의회 창설 등 네트워크 구축 작업이 진행되고 주거복지 차원의 서비스 제공업체들이 속속 늘어나는 게 이를 말해준다. 또 스마트 홈에 관한 연구와 함께 일부 첨단기업들이 스마트 홈 구축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서는 등 산업화와 생태계의 틀이 짜여지고 있다는 점 역시 고무적이다.

그동안 주거 서비스는 사람에 의존하던 공급기반으로 비용과 인력, 지역의 한계를 극복하기 쉽지 않은 데다 다양한 서비스의 욕구 및 수용, 대응 시스템 구축에도 제한적이어서 산업화 시현에 어려움이 컸던 게 사실이다. 서비스 니즈(needs)는 많으나 인력과 비용, 법적 제도적 장치 등이 뒤따르지 못하고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여기에 용역에 대한 대가 지불, 제각각의 환경 등 수요자의 수용태세 역시 미숙한 상황이어서 스마트 하우징 사업이 겉돌면서 실속 있는 서비스가 이뤄지지 못해온 게 사실이다. 스마트 홈에 대한 개념 역시 불명확하고 고립적 기술, 서비스의 고가화, 정부 부처 간의 경계성 모호 등이 원인으로 작용, 산업화의 생태계 구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얘기다.

이러한 산업화 한계에 불을 지핀 것은 급증하는 서비스 니즈다. 가구 분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1인 가구가 급증하는 주거 환경의 변화는 주거복지 차원의 서비스를 지원할 손과 발의 필요성이 절실해졌다. 스마트사회의 급진전 역시 스마트 서비스 공급기반 구축을 촉구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바빠진 일상생활에서의 생활 지원 등의 서비스 대행 체제가 요구된 만큼 이를 수용할 주거 서비스와 IT, AI와의 연결을 통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공급기반 구축이 절실해진 것이다.

예컨대 주택 내에 설치된 다양한 스마트 기기와 센서들이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주택의 기능과 시스템을 자동화하고 최적화하는 AI 스마트 하우징에 관심이 높아진 것이다. 거주자 측면에서 보면 유용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고 새로운 차원의 주거 서비스를 지원받게 되면서 산업화의 진전이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동안 일부 공공주택에 적용하던 주거복지 서비스가 중산층 민간 아파트 단지까지 확대되는 추세 역시 스마트 홈과 주거 서비스의 산업화를 촉진하는 요인이다.

스마트 하우징 시장의 전망을 보면 국내의 경우 지난 2021년 9800억원대에 머물렀으나 2022년 1조원대를 넘어섰고 오는 2026년 2조원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 하우징 관련 활성 가구만도 1550만 사용자에 보급률 68.6%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 시장 역시 급신장하는 추세로 2026년에 무려 400억 달러를 상회하면서 활성 가구가 3억9000만 가구에 이르고 보급률이 17%에 달할 전망이어서 스마트 홈 시설 및 서비스 운영 산업의 전망이 매우 밝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국내 정보화에 또 하나의 미래 먹거리가 된다는 차원에서도 긍정적이다. 최근 삼성전자의 미국 마이애미 공유 주거형 스마트 홈을 구축하여 AI 기반의 개인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키로 한 것은 수출의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다만 정부의 법적 제도적 지원 미비와 스마트 홈에 대한 인식 혼선, 관련 업계의 서비스 개발 부재 등은 여전히 선결과제다. 스마트 홈과 주거 서비스 산업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고 지배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프롭테크, 주거 서비스, AI스마트하우징의 상호 연계를 비롯해 주거산업의 집중 육성 및 생태계 조성을 위한 로드맵 마련 등에 적극 나서야 할 시점이다.

장용동 한국주거복지포럼 상임대표

※본란의 칼럼은 본지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