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자국 정치인 욕했다고…캄보디아 가사도우미 추방·체포 도운 말레이시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toopho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41006010002472

글자크기

닫기

정리나 하노이 특파원

승인 : 2024. 10. 06. 14:39

Cambodia Malaysia Dissent <YONHAP NO-6160> (AP)
훈마넷 캄보디아 총리(왼쪽)와 훈센 캄보디아 상원의장(가운데) 부자의 모습/AP 연합뉴스
말레이시아에서 가사도우미로 일하던 캄보디아 여성이 본국으로 추방당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캄보디아 정부 지도자들을 비판하는 글을 올렸다는 이유에서다.

6일 AP통신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캄보디아 정부의 요청을 받은 말레이시아 당국은 지난주 세랑고르주(州)의 한 자택에서 가사도우미로 일하던 캄보디아 여성 누온 뜨언(36)을 체포했다. 누온 뜨언은 이후 말레이시아 주재 캄보디아 대사관 직원에 의해 캄보디아로 호송돼 수도 프놈펜의 프레이 사르 교도소에 구금됐다.

누온 뜨언이 말레이시아에서 체포·추방 당한 이유는 자신의 SNS에서 훈마넷 캄보디아 총리의 아버지인 훈센 캄보디아 상원의장을 비판했기 때문이다. 그는 2017년 캄보디아 대법원에 의해 해산되기 전까지 집권당인 캄보디아 인민당을 바짝 추격하던 야당인 캄보디아구국당(CNRP)의 지지자다.

훈센에 대해 부정적으로 말하는 것과 관련해 죄가 될 수 있다며 조심하란 댓글을 받았던 그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자신의 페이스북에 영상을 올리며 "내가 이 비열한 사람(훈센)을 저주해서 죄를 지었다면, 그 죄를 기꺼이 받겠다. 그는 우리 (캄보디아)국민들을 너무나도 심하게 학대했다"며 "나는 정치인이 아니지만 정치적 관찰자이며 캄보디아에 사는 사람들을 대신해 분노를 표출한다"고 말했다.
캄보디아 당국은 누온 뜨언이 "사회적 혼란을 일으키도록 선동한 혐의로 기소됐다"며 교도소 구금을 확인했지만 혐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제공하지 않았다. 유죄 판결이 내려질 경우 누온 뜨언은 최대 5년의 징역형과 벌금형을 선고받게 된다.

국제 인권단체들은 누온 뜨언의 체포에 "(캄보디아와 말레이시아) 두 정부 간의 부끄러운 협력"이라며 거센 비판에 나섰다. 필 로버트슨 휴먼라이츠워치(HRW) 이사는 "훈센이 쿠알라룸프르에서 자신을 비열하다 부른 가사도우미를 쫓아갔고 대사관이 그를 데려갔다"며 "정말 비열한 것은 이 사건에 말레이시아가 개입한 것"이라 비판했다.

시민사회단체 연합인 시비커스 모니터(CIVICUS Monitor)의 요제프 베네딕트 연구원은 이번 사건이 "명백한 국제법 위반"이라며 말레이시아 정부가 반체제 세력을 처벌하려는 캄보디아 정부의 노력을 돕는 것이란 우려를 표명했다. 망명 중인 캄보디아 야당 지도자들이 결성한 크메르 민주주의 운동도 누온 뜨언의 추방에 대해 비판 성명을 냈다. 말레이시아에서 합법적으로 일하고 있었고 자신의 의견을 표명한 것 외에는 어떠한 범죄도 저지르지 않은 그를 적법절차 없이 추방한 것은 "국제법에 대한 노골적인 위반이며 인권에 대한 심각한 침해"라는 것이다.

38년간 캄보디아를 철권통치 해왔던 훈센은 지난해 8월 아들 훈마넷에게 총리 자리를 물려주고 상원의장으로 있다. 훈센은 집권 기간 동안 야당·반정부 인사와 정치·인권·시민사회 활동가들을 무자비하게 탄압해왔다. 캄보디아에선 누온 뜨언의 체포에 앞서 캄보디아의 심각한 인권 침해 문제를 알려오던 독립 언론인 메크 다라가 '사회 불안 및 선동 혐의'로 구속 기소돼 국제사회의 거센 비판을 받았다.

동남아시아에선 몇몇 국가들이 망명 중인 반체제 인사들을 구금하거나 추방하는 것을 서로 돕는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최근엔 태국 정부가 태국으로 피신한 베트남·라오스·캄보디아·중국 등의 반체제 인사들을 강제로 본국으로 송환해 큰 비판을 사왔다.

휴먼라이츠워치는 본국으로 강제송환된 반체제 인사들이 "고문·박해와 죽음에 직면할 수 있다"며 "반체제 인사나 정치 활동가들을 권위주의 국가로 강제로 다시 돌려보내는 것을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리나 하노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