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집중포화 맞는 中 딥시크, 각국 견제 갈수록 심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toopho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01010000061

글자크기

닫기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승인 : 2025. 02. 01. 17:24

세계 각국 딥시크 포비아 확산
한국도 예외 없이 민감 반응
대만 가세하는 형국까지 도래
저비용 고성능의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 Seek·선두추쒀深度求索)에 대한 세계 각국의 노골적인 견제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이 상태로 가다가는 딥시크가 인류 공공의 적이 될 가능성도 없지 않아 보인다.

clip20250201172132
중국의 저비용 고성능 AI 기업 딥시크의 홈페이지. 각국의 집중 견제 대상이 되고 있다./징지르바오(經濟日報).
진짜 그런지는 지금까지 자국의 정보 유출을 우려, 딥시크 금지령을 내리거나 규제의 칼을 가는 중인 각국의 행보를 살펴보면 잘 알 수 있다. 우선 미국을 꼽아야 할 것 같다. 국방부와 해군이 마치 경쟁하듯 내부 관련 기관과 구성원들에게 최근 전격 금지령을 내렸다. 분위기로 볼 때 다른 부처 등으로도 금지령이 확산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 외교 소식통들의 1일 전언에 따르면 이탈리아도 거론해야 한다. 개인정보 보호 기관인 가란테(Garante) 가 지난달 29일부터 사용을 차단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개인 정보 사용의 불투명성을 이유로 들었다고 한다.

네덜란드의 경우는 딥시크의 개인정보 수집과 관련, 조만간 조사에 착수하기로 했다. 또 자국 사용자들에게 딥시크 서비스 사용에 주의하라는 경고를 발했다.

영국 정부 역시 딥시크를 국가 안보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다. 독일은 딥시크 앱 규제 가능성을 면밀하게 들여다보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한국이라고 가만히 있을 까닭이 없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딥시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과 절차, 처리 및 보관 방법을 확인하는 공식 질의서를 조만간 발송할 예정인 것으로 보인다.

이 와중에 대만도 각 부처 및 기관에 딥시크 서비스 이용 '금지령'을 내렸다. 금지령을 발동한 주체는 디지털부로 지난달 31일 공공부문 근로자들에게 딥시크의 AI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중국 정부로 데이터가 유출된다면서 사용 금지 조치를 내린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대만의 중앙 및 각급 지방 정부 부처·기관과 공립 학교, 국유기업, 기타 준관영 조직의 직원들은 앞으로 딥시크를 이용할 수 없다. 이밖에 중요 인프라 프로젝트를 수행하거나 정부 소유 재단에서 일하는 사람들 역시 딥시크 사용 금지 대상자가 된다. 딥시크 포비아가 이제는 같은 언어권인 대만에까지 퍼졌다고 해도 괜찮을 것 같다.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