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 예외 없이 민감 반응
대만 가세하는 형국까지 도래
|
베이징 외교 소식통들의 1일 전언에 따르면 이탈리아도 거론해야 한다. 개인정보 보호 기관인 가란테(Garante) 가 지난달 29일부터 사용을 차단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개인 정보 사용의 불투명성을 이유로 들었다고 한다.
네덜란드의 경우는 딥시크의 개인정보 수집과 관련, 조만간 조사에 착수하기로 했다. 또 자국 사용자들에게 딥시크 서비스 사용에 주의하라는 경고를 발했다.
영국 정부 역시 딥시크를 국가 안보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다. 독일은 딥시크 앱 규제 가능성을 면밀하게 들여다보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한국이라고 가만히 있을 까닭이 없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딥시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과 절차, 처리 및 보관 방법을 확인하는 공식 질의서를 조만간 발송할 예정인 것으로 보인다.
이 와중에 대만도 각 부처 및 기관에 딥시크 서비스 이용 '금지령'을 내렸다. 금지령을 발동한 주체는 디지털부로 지난달 31일 공공부문 근로자들에게 딥시크의 AI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중국 정부로 데이터가 유출된다면서 사용 금지 조치를 내린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대만의 중앙 및 각급 지방 정부 부처·기관과 공립 학교, 국유기업, 기타 준관영 조직의 직원들은 앞으로 딥시크를 이용할 수 없다. 이밖에 중요 인프라 프로젝트를 수행하거나 정부 소유 재단에서 일하는 사람들 역시 딥시크 사용 금지 대상자가 된다. 딥시크 포비아가 이제는 같은 언어권인 대만에까지 퍼졌다고 해도 괜찮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