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USAID 직원 3%만 살아남는다…트럼프, 대대적인 구조조정 착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toopho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07010003571

글자크기

닫기

김도연 기자

승인 : 2025. 02. 07. 10:18

1만여명 직원 중 290명만 남기고 해고
USA-TRUMP/AID-FAMINE
지난 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 위치한 국제개발처(USAID) 건물 앞에서 직원들이 플래카드를 들고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구조조정 계획에 항의하고 있다./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부효율부(DOGE)를 이끄는 일론 머스크가 국제개발처(USAID)에 대한 대대적인 구조조정에 들어갔다.

트럼프 행정부는 USAID 전체 1만여 명 직원의 3%에도 미치지 못하는 290명만 남길 계획이라고 뉴욕타임스(NYT) 등 미국 언론이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트럼프 정부는 이날 USAID 지도부와의 통화에서 이 같은 감축 계획을 밝혔다. 잔류하게 될 290명은 보건과 인도적 지원 분야 전문 인력이다.

지역별로는 아프리카에 12명, 아시아에 9명이 배치되며, 일부 현지 인력도 잔류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AP통신은 이번 감축 계획이 영구적인 조치인지 아니면 행정부가 원조 및 개발 프로그램을 검토한 뒤 일부 인력을 복귀시킬 가능성이 있는지는 아직 불분명하다고 전했다.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은 도미니카공화국 방문 중 기자들에게 "미국 정부는 계속해서 해외 원조를 제공할 것"이라며 "그러나 이는 우리의 국가 이익과 부합하는 방식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법에 따라 설치된 기관을 임의로 폐지하는 것은 위법적 조치라며 비판하고 있다

미국의 대외 원조를 전담 기구인 USAID는 1961년 외국원조법에 따라 설립됐다. 연간 예산은 428억 달러(62조4000억원)다.

트럼프 정부는 예산 사용 효율성 문제 등을 이유로 USAID를 사실상 없애고 해당 기능을 국무부 산하로 이전할 예정이다.

한편, 환경보호청(EPA) 내 환경정의실도 대규모 인력 조정이 이뤄졌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 부서 소속 168명의 직원이 행정 휴가 조치를 받았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 부서를 없앨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제기되면서, 향후 조직 개편이 추가로 이뤄질 전망이다.
김도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