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尹탄핵 ‘인용 52%·기각46%’ 오차범위 접전… 30대 48% ‘기각’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toopho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16010007959

글자크기

닫기

천현빈 기자

승인 : 2025. 02. 16. 13:30

서울 지역 54% '탄핵기각', 가장 높아
尹지지층 94% '탄핵기각', 3% '인용'
與지지 90% '기각', 野지지 94% '인용'
clip20250216132736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결정에 찬반 여론이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이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6일 나왔다. 윤 대통령 탄핵을 인용해야 한다는 의견은 52%, 기각해야 한다는 의견은 46%를 기록했다.

아시아투데이가 한국여론평판연구소에 의뢰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윤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에 대한 여론 중 '탄핵을 인용해 파면해야 한다'와 '탄핵을 기각해 직무에 복귀시켜야 한다'가 오차범위 내에서 비슷한 수치를 기록했다.

60대와 70세 이상에서 과반 이상이 '기각해야 한다'에 응답했는데, 특히 30대에선 48%가 기각해야 한다고 답해 과반에 육박했다. 30대의 50%는 '탄핵을 인용해야 한다'에 답했다. 잘 모름은 2%다.

60대에선 54%가 '탄핵 기각'에 응답했고, 42%만 '탄핵 인용'에 답했다. 70세 이상에선 기각 의견에 더 많은 손을 들어줬다. 70세 이상의 64%는 '탄핵 기각'에, 33%는 '탄핵 인용'에 응답했다. 두 연령층 모두 3%는 '잘 모름'이라고 답했다.

18~29세도 '탄핵을 기각해야 한다'는 의견에 42%가 동의했다. 56%는 '탄핵을 인용해야 한다'고 했다. 잘 모름은 2%다. 40대에선 '탄핵을 기각해야 한다'는 응답이 36%로 제일 낮았다. 62%는 탄핵 인용에 찬성했다. 2%는 잘 모름이라고 답했다.

남성과 여성의 탄핵 인용·기각에 대한 응답 비율은 거의 같았다. 남녀 모두 46%는 '탄핵을 기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남녀 각각 51%와 52%는 탄핵 인용에 찬성했다. 잘 모름은 각각 3%, 2%로 나왔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이 '탄핵 기각'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다. 서울에 거주하는 이들의 54%는 '탄핵 기각'에, 44%는 '탄핵 인용'에 답했다. 1%만 '잘 모름'에 찍었다. 그 다음은 부산·울산·경남 지역이다. 53%가 '탄핵 기각'에 답했고, 45%는 '탄핵 인용'에 손을 들었다. 잘 모름은 2%다.

대전·세종·충청 지역도 과반 이상이 '탄핵 기각'에 응답했다. '탄핵 기각'은 51%, '탄핵 인용'은 46%를 차지했다. 잘 모름은 3%다. 인천·경기 지역은 오차범위 내 접전 양상을 보였다. 46%가 '탄핵 기각'에, 51%가 '탄핵 인용'에 답했다.

대구·경북에선 '탄핵 인용' 의견이 '탄핵 기각' 의견보다 높았다. 55%의 응답자는 '탄핵 인용'에 답했고, 43%는 기각해야 한다고 했다. '탄핵 기각' 응답률이 가장 낮은 곳은 광주·전라와 강원·제주 지역이다. 두 지역 모두 25%만이 '탄핵을 기각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광주·전라 지역의 73%는 탄핵을 인용해야 한다고 했고, 강원·제주는 72%가 응답했다.

대통령 지지 여부에 따라 의견이 극명히 갈렸다. 대통령 지지층의 94%는 '탄핵 기각'에, 3%는 '탄핵 인용'에 답했다. 비지지층의 96%는 '탄핵 인용', 2%만 '탄핵 기각'에 손을 들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지지자들의 96%도 '탄핵 인용'에 답했고, 3%만 '탄핵 기각'에 찬성했다. 비지지층의 13%는 '탄핵 인용'에, 83%는 '탄핵 기각'에 답했다.

'헌재가 공정하다'고 응답한 층에선 95%가 '탄핵 인용'에, 4%가 '탄핵 기각'에 응답했다. 반대로 '헌재가 불공정하다'고 생각한 이들의 6%는 '탄핵 인용', 90%는 '탄핵 기각'에 동의했다.

정당 지지층에 따라 탄핵 찬반 여부도 확실한 인식차를 보였다. 국민의힘 지지층의 90%는 '탄핵 기각'에, 6%만 '탄핵 인용'에 동의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4%는 '탄핵 인용', 5%는 '탄핵 기각'에 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층의 98%는 '탄핵 인용'이라고 답했고, 2%가 '잘 모름'이라고 했다. 탄핵 기각 의견은 0%로 나왔다. 개혁신당 지지층의 63%는 '탄핵 인용', 30%는 '탄핵 기각'에 답했다. 무당층에선 '탄핵 인용'이 64%, '탄핵 기각'은 32%로 나왔다.

이념성향이 '보수'라고 응답한 층은 72%가 '탄핵 기각'에, 26%는 '탄핵 인용'에 찬성했다. 진보층의 86%는 '탄핵 인용', 14%는 '탄핵 기각'이라고 답했다. 중도층은 44%가 '탄핵 기각', 54%가 '탄핵 인용'에 답했다.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설 연휴 전후로 지지율이 현재와 같은 흐름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며 "이런 흐름이 고착화될 수 있는데, 앞으로도 큰 변화 없이 오차범위 내에서 탄핵을 두고서 찬반이 갈릴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탄핵 초기 국면에서 탄핵 인용 응답률이 75%가 넘어가던 걸 고려하면 사회적 다수의 합의가 있어야 하는 탄핵 심판에선 많이 부족한 여론 흐름"이라며 "탄핵이 기각되든 인용되든 혼란스런 정국이 쉽게 가라앉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번 조사는 아시아투데이가 한국여론평판연구소(KOPRA)에 의뢰해 2025년 지난14~15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무선 RDD를 이용한 ARS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9.6% (1만467명 중 1001명)이며 2025년 1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부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천현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