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미 연준 의장 “기준금리 인하 서두를 필요 없어”...그 배경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atoopho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12010005930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5. 02. 12. 07:28

파월 미 연준 의장 "경제 견고·인플레 목표치 상회"
"트럼프 행정부 관세, 물가 상승 유발 가능성"
"자유무역 합리성 불구 대국 미준수시 미작동"
US-FED-CHAIR-POWELL-DELIVERS-SEMIANNUAL-MONETARY-POLICY-REPORT-T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1일(현지시간) 워싱턴 D.C. 연방의회 의사당에서 진행된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서 발언하고 있다./AFP·연합뉴스
아시아투데이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은 11일(현지시간) 기준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파월 의장은 이날 열린 연방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서 "지금 경제가 꽤 좋은 상황에 있고, 인플레이션에 대해 더 진전을 이루길 원한다"며 "정책 금리가 적절한 수준이고, 서둘러 금리를 더 인하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에 대해 "지난 2년간 상당히 둔화했다"면서도 "연준의 2% 장기 목표에 견줄 때 다소 높은 상황에 머물러 있다"라고 진단했다. 연준이 통화정책 목표 달성 준거로 삼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률은 지난해 12월 전년 동기 대비 2.6%를 보였다.

USA-FED/POWELL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1일(현지시간) 워싱턴 D.C. 연방의회 의사당에서 진행된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하고 있다./로이터·연합뉴스
◇ 파월 미 연준 의장 "경제 견고·인플레 목표치 상회, 기준금리 인하 서두를 필요 없어"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연 2%)까지 계속 하락하지 않고, 경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면 금리를 훨씬 더 오래 동결할 수 있지만, 노동시장이 예기치 않게 약화하거나,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빠르게 목표치까지 하락할 경우 금리를 추가 인하할 수 있다고 강조한 것이다.

파월 의장의 발언은 지난달 2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후 기자회견 때 밝힌 정책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연준은 지난해 9월·11월·12월 3차례 연속, 총 1%포인트의 금리를 인하한 후 지난달 20일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금리 인하를 공개적으로 압박했지만, 지난달 29일 동결을 결정했다.

이에 대해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 개선과 노동시장 상황의 냉각을 고려해 정책 금리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었다고 옹호했다.

파월 의장의 이날 의회 증언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과 지난달 3일 119대 연방의회 개원 이후 처음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유가가 하락하면 즉시 금리인하를 요구할 것이라고 했지만, 이날 상원의원들로부터의 인하 압력을 거의 없었다.

파월 의장이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시장은 연준이 금리 인하 결정에 신중한 기조를 유지할 것이란 기대를 강화했다.

시카고선물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이날 금리 선물시장에서 연준이 오는 3월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4.25∼4.50%로 동결할 확률을 전날 92%에서 이날 오후 95.5%로 상향 반영했다.

Senate Federal Reserve
앤디 김 미국 민주당 연방 상원의원이 11일(현지시간) 워싱턴 D.C. 연방의회 의사당에서 진행된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대상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 참석하고 있다./AP·연합뉴스
◇ 파월 "트럼프 행정부 관세, 물가 상승 유발 가능성...자유무역 합리성 불구 대국 미준수시 미작동"

파월 의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 관세 부과가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도 부과 대상·기간 등 구체적인 내용에 따라 크고 좌우될 것이라며 직접적인 평가를 피했다.

파월 의장은 무관세 자유무역이 논리적으로는 합리적이지만, "그 규칙을 따르지 않는 매우 큰 나라가 하나 있을 때는 잘 작동하지 않는다"고 지적하게도 했다.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의 부정적 영향을 우회적으로 우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행정부가 소비자금융보호국(CFPB)에 대해 업무 중단 조처를 내린 데 대해 민주당 의원들이 '거대 은행이 이용자를 속이지 않는지 CFPB 외 견제할 기관이 있는지' 등의 질의에 파월 의장은 "다른 규제 당국이 없다"고 답했다.

그는 자산 100억달러 이하의 은행의 소비자 보호에 관해선 연준이 관할권을 가지고 있지만, 대형 은행이나,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형 기술기업에 대해선 권한이 없다고 설명했다.

연준은 2010년 도드프랭크법(금융규제개혁법)에 따라 금융 감독 권한 일부를 CFPB로 이관했다. 파월 의장은 12일 하원 청문회에 출석한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