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홍남기 “전기차 전문정비소, 2025년까지 3300개로 확충…친환경차 안전기반 확립”

홍남기 “전기차 전문정비소, 2025년까지 3300개로 확충…친환경차 안전기반 확립”

기사승인 2021. 04. 01. 10:5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홍남기 빅3 추진회의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7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제공=기재부
정부가 2025년까지 친환경차 정비인프라 확대를 위해 전기차 전문정비소를 3300개 늘리고, 전기차 배터리 등에 쓰이는 차세대 전력반도체 핵심 제품도 5개 이상 상용화하기로 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7차 혁신성장 BIG3(미래차·바이오헬스·시스템반도체) 추진회의에서 이같이 밝혔다.

먼저 홍 부총리는 “친환경차 충전 중 화재, 배터리 대규모 리콜 등이 이어지면서 안전성 문제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며 “친환경차 보급확산을 위한 안전기반을 확립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정부는 전기차 핵심부품인 배터리 안전성 시험항목은 11개로 늘리고, 충돌 안전성 평가대상에 전기차 4종을 추가한다. 수소버스 제작·안전기준도 신설한다.

새 유형의 차량 화재 대응기술과 장비 개발을 내년까지 완료하고, 일반 내연기관차 중심인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의 친환경차 결함조사 시설·장비도 단계적으로 확충할 방침이다.

친환경차 정비 인프라와 인력 확대를 위해 전기차 전문정비소를 2025년까지 3300개 확충하고 자동차학과 교육과정을 개편한다. 현재 10개소인 수소차 검사소는 내년까지 23개소로 확대한다.

전기차 충전설비 설치 시 전기안전공사 안전 점검을 의무화하고, 점검항목·이력 등에 대한 통합관리시스템 구축도 추진한다.

아울러 홍 부총리는 “차세대 전력반도체는 전기차 배터리, 태양광 등 디지털·그린 뉴딜의 핵심부품이지만 생산규모와 기술력 부족 등으로 90% 이상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면서 “차세대 전력반도체 기술개발과 생산역량을 확충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2025년까지 핵심제품 5개 이상을 상용화하는 등 국내 자립기반 구축을 위해 수요연계형 상용화, 핵심기술 개발, 제조역량 확충 등 3단계로 집중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먼저 반도체와 충전기 등 상용화 과제 기획·발굴을 위해 수요·공급기업 간 연대협력협의회를 개최하고, 2022년까지 파워 반도체 상용화센터의 시제품 지원 물량을 2배 확대하기 위해 인프라 증설을 추진한다.

실리콘카바이드(SiC) 등 3대 핵심소재 기반 차세대 전력반도체 기술 개발에 올해 100억원을 지원하고, 팹리스·파운드리 등 민간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 개발부터 웨이퍼 제조까지 국내 전(全)주기 밸류체인 조성에 주력한다.

민간 파운드리의 차세대 전력반도체 제조공정 구축을 적극 지원하고, 2022년까지 부산 파워반도체 상용화센터 내에 신뢰성 평가인증센터를 구축해 신뢰성을 확보할 방침이다.

이 밖에도 홍 부총리는 K-방역 맞춤형 수출지원을 위해 “K-방역 중점 수출 품목을 10개 선정해 신속한 제품화와 해외 인·허가, 수출 수요 발굴 등 맞춤형 집중 지원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또 “올해 안에 30억원 규모의 K-방역 전용 수출 바우처와 100억원 규모 수출금융 등 자금 지원 프로그램도 함께 신설하겠다”고 언급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