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사설] 에너지 정책, 탈탄소 추세와 효율성 고려하길

[사설] 에너지 정책, 탈탄소 추세와 효율성 고려하길

기사승인 2022. 04. 13. 18: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지난 12일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 백지화를 골자로 하는 ‘탄소중립 전략보고서’ 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탈원전 정책을 이어갈 경우 2050년에 전기요금이 지금보다 5배 넘게 오른다는 것을 근거로 현 정부에서 배제돼 온 원자력발전소를 전면 배치하겠다고 공표한 것이다.

이는 탈원전 정책을 백지화하고 원전 최강국을 건설하겠다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이 반영된 것이기도 하다.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 비전과 이행 계획이 경쟁적으로 만들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유럽연합(EU)이 ‘그린 택소노미(녹색분류체계)’에 원전을 포함시키는 등 원자력이 다시금 조명받고 있는 만큼 합리적인 에너지정책 방향인 셈이다.

다만 인수위의 ‘탈원전 백지화’ 선언이 현 정부와 각을 세우려는 의도로 인식되는 것에 대해선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정치적 차별화보다는 탄소중립을 위한 현실적인 ‘에너지 믹스’ 차원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인수위는 현 정부의 탈원전 정책 때문에 전기를 생산하는 한국전력의 부채가 늘어났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심지어 탈원전 정책에도 불구하고 현 정부 출범 이후 온실가스 배출량이 오히려 늘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원전 가동률 저하,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 등의 원인을 모두 탈원전 정책 하나에만 귀속시키기는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인수위의 에너지정책과 관련해 그 핵심으로 ‘소형모듈원전(SMR)’이 떠오르고 있어서 국내 업계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매우 고무적이 아닐 수 없다. SMR은 탄소배출이 거의 없으면서 초기 투자비가 낮고, 수소와 암모니아 등 그린 에너지 생산과 연계 운용할 수 있어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는 우리의 미래 먹거리를 창출하는 차원에서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분야다.

정권교체기에 불필요한 정치적 논란을 야기하기보다는 SMR 기술의 개발 등을 통해 국제적인 탈(脫)탄소 추세와 발을 맞추면서 국내 산업경쟁력의 제고와 미래 먹거리 발굴을 함께 이루는 지혜를 발휘해주기 바란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