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증권업계, 중후순위·비수도권 위험부담…PF 충당금 부담 지속

증권업계, 중후순위·비수도권 위험부담…PF 충당금 부담 지속

기사승인 2024. 02. 21. 17:4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보유 중인 물량, 미분양 등 리스크
"충당금 등 비용 부담 한동안 지속"
여의도 증권가 게티이미지뱅크
여의도 증권가. /게티이미지뱅크
부동산PF 관련 충당금이 당분간 증권사들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자기자본 확보, 충당금 적립 등 손실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왔으나, 남아있는 부동산PF 구조(중·후순위, 지방)가 손실 발생에 더욱 취약하다고 평가받는 상황이다.

특히 사업성이 떨어지는 부동산PF는 결국 정리될 가능성이 높기에, 손실 대응 차원에서의 비용 발생은 증권업계 수익성에 지속적인 부담이 될 전망이다.

21일 신용평가업계에 따르면 작년 3분기말 기준 증권업계에 부동산PF 위험노출액(익스포저)는 27조6000억원이다.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수치는 6조3000억원이었으나, 지급보증 규모가 21조3000억원에 달했다.

규모로 봤을 때는 금융업종 중 은행(44조2000억원), 보험(43조3000억원)에 이은 세 번째다. 여기에 총자산 내 비중은 4.1%로 낮은 수준이다, 이에 비중이 10%가 넘는 저축은행(16.5%), 캐피탈(10.9%)와 비교, 어느 정도 대응이 가능하다는 평가도 존재했다.

하지만 증권업이 갖는 실질적 위험은 규모보다 더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보유하고 부동산PF의 구성이 질적으로 좋지 않다는 지적이다.

실제 중·후순위 익스포저는 약 12조1000억원으로 44%를 차지했다. 비수도권 물량(해외 포함) 또한 비중이 44%에 달했다.

중·후순위 부동산PF 비중이 높다는 것은 회수 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부동산PF 구조조정이 본격화됐을 때 큰 손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비수도권 물량이 많다는 점은 미분양과 연결된다. 국내에서 민간주택사업은 대출(PF 등)로 집을 짓고 이를 분양해 대출금을 갚고 수익을 내는 구조다. 미분양이 발생하면 이미 진행한 대출의 미상환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이에 미분양 가능성이 높다는 것은 큰 리스크로 해석됐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1만465가구로 집계됐는데, 이 중 80%를 차지하는 8376가구가 수도권 외 지방에서 발생했다. 준공 후 미분양은 추후 분양가를 크게 내려야 완판이 가능하다는 점과 미분양 주택이라는 낙인효과 때문에 악성 미분양으로 꼽힌다.

이와 관련 한국신용평가 금융·구조화 평가본부는 "지방, 중·후순위 비중이 높을수록 최종 손실부담 가능성이 높다"며 "지방 사업장의 경우 일반적으로 토지비에 비해 공사원가 비중이 높아, 공사원가 인상으로 인한 사업성 저하도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실제 증권업계가 보유한 부동산PF의 평균 분양률은 39.6%로 알려졌다. 금융회사 기준 손실 없이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분양률이 선순위 60%, 후순위 70% 내외 수준인 것을 볼 때 상황은 부정적이다.

결국 손실에 대비하기 위한 충당금 적립은 올해도 상당 기간 지속될 수 있다. 작년 9월말 기준 부동산PF 리스크가 큰 중소형 증권사의 충당금 적립률이 10%, 대형 증권사(7%)로 다른 금융업종(저축은행, 캐피탈)보다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지만 부실한 부동산PF 정리과정에서 전반적으로 충당금 적립이 더 요구될 수밖에 없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목적이 '부동산PF 연착륙'이기에 충격 완화를 위해 기간을 두고 구조조정을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며 "대규모 손실인식 등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지만, 충당금 등 비용 부담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