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5월 소매판매 3.7%↑ 반등, 中 디플레 우려 여전

5월 소매판매 3.7%↑ 반등, 中 디플레 우려 여전

기사승인 2024. 06. 17. 20:0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내수진작책 등 부양책 효과
노동절 연휴 효과도 본 듯
소비는 예상치 상회
중국의 5월 소매 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3.7% 늘었다. 산업생산도 5.6% 증가했다. 깜짝 반등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디플레이션(물가 하락) 우려에서는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통계국
국가통계국이 17일 각종 경기 지표를 발표하고 있다./베이징칭녠바오(北京靑年報).
국가통계국의 17일 발표에 따르면 5월 소매 판매는 3조9211억 위안(元·744조6000억 원)으로 증가 폭은 시장 예상치인 3.0%에 비해 확실히 높았다. 1∼5월 전체 소매 판매 역시 전년 동기와 비교해 4.1% 증가했다.

5월 소비가 이처럼 시장 전망치보다 다소 호조를 보인 것은 중국 정부가 내놓은 소비 진작책 등 각종 부양책의 효과 탓인 것으로 보인다. 또 1일부터 5일까지의 노동절 연휴도 일부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산업생산 증가율은 시장 전망치인 6.0%를 밑돌았다. 전달의 6.7%보다도 증가 폭이 둔화됐다. 분야별로 보면 3D프린터 설비 36.3%, 신에너지차 33.6%, 집적회로(반도체) 17.3% 등이었다. 미국과 서방이 과잉생산을 주장해 온 첨단기술 분야가 증가세를 견인했다고 볼 수 있다. 1∼5월 전체로 보면 전년 동기 대비 6.2% 늘었다.

경기 동향을 보여주는 제조업구매관리자지수(PMI) 역시 5월 들어 석 달 만에 50 이하로 떨어져 '경기수축' 국면으로 돌아섰다. 농촌을 뺀 공장, 도로, 전력망, 부동산 등에 대한 자본 투자 변화를 보여주는 1∼5월 고정자산투자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 늘었다. 그러나 부동산 개발 투자는 10.1% 하락, 침체가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국이 이날 별도로 발표한 70대 주요 도시 5월 주택 가격 자료에서도 부동산 장기 침체 현상은 확인됐다.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5월 70대 주요 도시 신규 주택 가격이 전월 대비 0.7% 떨어졌다. 지난 4월 하락률 0.6%을 밑돌았다. 11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한 셈이다.

5월 실업률은 5.0%로 전달과 같았다. 1∼5월 전체로 보면 5.1%를 기록했다. 또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대비 0.3% 상승했다. 이에 반해 1∼5월 CPI는 0.1% 오르는 데 그쳤다.

소비자물가는 넉 달 연속으로 상승하기는 했다. 하지만 디플레이션 우려는 완전히 가시지 않고 있다. 5월 수출입 규모는 괜찮았다. 위안화 기준으로 전년 동기대비 8.6% 늘었다. 수출이 11.2% 급증한 반면 수입은 5.2% 증가에 그쳤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