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쌍특검’ 재표결서 친한계 반란?…“野, 윤·한 틈 벌려도 단일대오”

‘쌍특검’ 재표결서 친한계 반란?…“野, 윤·한 틈 벌려도 단일대오”

기사승인 2024. 10. 02. 13:0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尹, 24번째 거부권 행사
쌍특검 재표결 결과 주목
"尹탄핵 시도에 동조 안해"
사진
윤석열 대통령이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 분수정원에서 열린 국민의힘 지도부 초청 만찬 뒤 한동훈 대표, 추경호 원내대표 등 국민의힘 지도부, 대통령실 참모진과 함께 산책을 하고 있다./제공=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이 2일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 단독으로 처리한 '쌍특검법'(채상병·김건희특검법)과 '지역화폐법'에 대한 거부권(재의요구권)을 행사하면서 다시 국회의 시간이 시작됐다.

민주당은 "머지않아 국민이 대통령을 거부하는 사태가 올 것"이라며 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를 맹비난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민주당의 정쟁유발용 입법 폭주에 대통령의 거부권이 행사되는 것은 당연하다"며 거대 야당의 악법 횡포를 막아내겠다는 각오를 다졌다.

민주당은 오는 4일 본회의를 열고 거부권 법안들을 재표결한다는 방침이다.

윤 대통령은 쌍특검법과 지역화폐법을 포함해 취임 후 2년 5개월 만에 총 24건의 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했다.

민주당은 윤 대통령의 이번 거부권 행사를 비판하면서 초점을 '김건희특검법'에 맞췄다. 민주당의 대여 공세의 비중이 '채상병특검법'에서 '김건희특검법'으로 옮겨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민수 대변인은 이날 국회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이 제아무리 방탄 거부권으로 배우자를 지키려 해도 매일같이 터져나오는 핵심 증거들로 인해 국민 분노는 들끓고 있다"고 말했다.

한 대변인은 언론에 보도된 김 여사 주가조작 의혹 관련 한국거래소 심리분석 결과 등을 거론한 뒤 "온갖 국정농단 의혹의 끝에 김건희 여사가 나오고 있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최근 김 여사 의혹을 고리로 윤석열 정부를 향한 공세 수위를 한껏 끌어올리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민주당이 다른 야당과 공조해 윤 대통령 탄핵 '빌드업'에 들어간 게 아니냐는 평가가 나온다.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는 앞서 지난달 30일 "제1야당인 민주당도 윤석열 대통령을 탄핵할 결심을 해달라"고 요구한 바 있다.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등 야5당은 같은 날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여는 등 연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범야권이 윤 대통령 탄핵 여론전을 본격화한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이런 상황에서 여당은 '윤·한(윤석열·한동훈) 갈등'의 노출로 야당에 공격의 빌미를 제공하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이날 예정된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 원내지도부 만찬 회동에 대해 민주당은 거부권 법안 재표결에 대비한 '표 단속'으로 규정하는 동시에 윤·한 균열을 부추기는 모습도 보였다. 한 대표가 특검에 대해 윤 대통령과 다른 목소리를 내기 때문에 만찬 회동에서 제외된 것 아니냐고 물은 것이다.

실제로 정치권 안팎에서는 국민의힘 친한(친한동훈)계에서 특검법 재표결 이탈표가 나올 가능성도 제기된다. 친한계가 최근 김 여사 의혹과 관련해 사과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거듭 밝히고 있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그럴 가능성을 일축하고 있다. 국민의힘이 최근 강득구 민주당 의원이 시민단체의 '탄핵의 밤' 행사가 국회에서 열릴 수 있게 장소 대관을 주선한 데 대해 거세게 비난하는 등 야권의 '탄핵' 공세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점을 근거로 든다.

'김건희특검법 통과'가 곧 '윤석열 탄핵'으로 가는 지름길이라는 인식이 여권 내부에서도 퍼져 있어 단일대오가 무너질 일은 없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김성회 전 대통령실 종교다문화비서관은 "민주당이 친한계의 반란을 부추기고 있지만 김무성·유승민 등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동조 세력의 정치적 후과를 지켜본 친한계가 쉽게 '김건희특검법'에 찬성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