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환자단체들 잇따라 의사 집단휴진 철회 촉구

환자단체들 잇따라 의사 집단휴진 철회 촉구

기사승인 2024. 06. 13. 12:37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92개 환자단체들, 의대교수·개원의 휴진 계획 규탄
증원만으로 필수·지역의료 강화 연결 의문 제기
“늘어난 인력, 기피과·지역·공공의료 갈 리 없어”
전날에도 중증질환연합회 전면휴진 비판
KakaoTalk_20240613_115803205_01
92개 환자단체들은 13일 국회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의대교수들과 개원의의 집단휴진 철회를 촉구했다. /사진=한국환자단체연합회
환자단체들이 잇따라 의사 집단휴진 철회를 촉구했다. 이들은 또 의대증원만으로 필수·지역의료 강화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문제도 제기했다.

13일 중증아토피연합회, 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사)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등 92개 환자단체들은 국회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의대교수들과 개원의의 집단휴진 계획을 비판했다. 전날에도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 한국다발골수종환우회, 한국폐암환우회, 한국루게릭연맹회 등 6개 단체가 속한 한국중증질환연합회가 의사 집단휴진을 규탄하며 취소를 요구했다.

이날 환자단체들은 "전공의 집단행동으로 시작된 4달간 의료공백 기간 어떻게든 버티며 적응해왔던 환자들에게 의료진의 연이은 집단 휴진·무기한 휴진 결의는 절망적인 소식이 아닐 수 없다. 환자들은 이제 각자도생을 넘어 사지로 내몰리고 있다"며 "서울대병원 비대위와 대한의사협회는 무기한 휴진과 전면 휴진 결정을 지금 당장 철회하라"고 했다.

앞서 서울대 의대 교수들은 전공의 행정처분 완전 취소 등을 요구하며 오는 17일부터 무기한 집단 휴진을 예고했다. 연세대 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도 오는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을 결정했다. 다만 응급실, 중증 환자 진료는 유지한다. 개원의들이 다수 회원으로 있는 대한의사협회는 오는 18일 집단 휴진하기로 했다. 가톨릭의대와 울산의대 교수 비대위는 의협 휴진에 동참을 결정했다.

환자들은 무기한 휴진을 결의한 서울대 의대 교수들을 향해 "어떻게 국립대병원이 무기한 휴진을 선포하고 그로 인해 일어날 피해를 중증·희귀질환자들이 고스란히 짊어지게 할 수 있는가"라며 "서울대병원 비대위는 대국민 입장문에서 정부의 무도한 처사가 취소될 때까지 진료를 미뤄주기를 부탁한다고 했다. 하지만 제자이자 후배인 전공의들에게 싸우더라도 현장에서 싸워야 한다고, 환자에겐 의사가 필요하다고 말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의대 증원이 필수 지역의료 강화로 이어질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했다. 92개 단체 환자들은 "늘어난 의대정원으로 인해 배출될 의료인력은 10년 후에나 의료현장으로 나올 것이다. 그들이 기피과나 지역의료, 공공의료로 갈 리는 없다"며 "정부와 의료계 어느 쪽도 기피과 필수의료에 대한 지원책, 지역의료를 살릴 방법, 공공의료 그 어떤 것도 말하고 있지 않으니 당연한 귀결"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문제는 환자들이 필요로 하는 좋은 의사를 '어떻게' 늘리느냐인데, 정부는 증원 숫자에만 초점을 맞췄고, 의료계는 '원점 재논의해야 한다'는 주장만 반복했다"며 "정부는 왜 지금 2000명이어야만 하는지 말하지 않았고, 의료계는 왜 원점이어야만 하는지를 말하지 않았다. 두 쪽 모두 다른 속내가 있는 것 같아 보였고, 어느 쪽 주장도 온전히 납득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의료공백 장기화에 따른 간호사 등 진료지원인력 법제화도 요구했다. 환자들은 "정부는 의료 공백 사태 장기화 상황에서 위태로운 법적 지위 하에 일하고 있는 진료지원인력을 합법화해 환자에게 안전한 의료환경을 조성하라"며 "또한 국회는 의료인 집단행동 시 응급실, 중환자실, 분만실 등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는 정상 작동할 수 있도록 관련 입법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