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서울 상반기 아파트 거래량 3년 만에 최다…가격도 88% 회복

서울 상반기 아파트 거래량 3년 만에 최다…가격도 88% 회복

기사승인 2024. 06. 16. 11:16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20230516000730_0
서울 시내 한 아파트 밀집지역 전경./연합뉴스
부동산 시장에서 서울이 가파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반기 기준으로 올 상반기 아파트 거래량은 3년 만에 가장 많은 수준을 기록했다. 실거래 가격도 이전 최고가 대비 88%까지 회복했다.

16일 연합뉴스가 부동산R114와 함께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14일 기준 올해 상반기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만7980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반기 기준으로 2021년 상반기(2만5820건)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지난해 하반기(1만6653건)에 비해서도 8% 증가했다.

5·6월의 매매 거래 신고기한이 각각 이달 말과 다음 달 말까지인 점을 감안하면 상반기 최종 거래량은 2만건을 훨씬 웃돌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 상승세는 주로 강남권 다음으로 가격이 높은 '준상급지' 지역들이 주도했다.

자치구별로 송파구의 상반기 거래 건수는 지난해 하반기(1173건)보다 16.8% 증가한 1370건이었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가장 많았다. 9500가구가 넘는 가락동 '헬리오시티'를 비롯해 잠실 '엘스·리센츠·트리지움' 등 대단지 아파트에 실수요자들이 몰리며 거래도 증가했다.

동작구 거래량도 지난해 하반기 622건에서 올해 상반기 796건으로 28% 증가했다. 마포구에서는 698건에서 880건으로 26.1% 거래가 늘었고, 성동구도 793건에서 967건으로 21.9% 늘었다. △은평구(18.9%) △동대문구(16.0%) △영등포구(14.3%) 등에서도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올해 거래량은 2분기 들어 집중적으로 증가했다. 4월 들어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연 3% 후반대까지 떨어지고 있다. 여기에 전세가격·공사비 상승이 지속되는 가운데 내년 아파트 입주 물량 감소로 아파트 값이 더 오를 것이라는 예측에 매수세가 강해진 것으로 분석된다.

또 여야 모두 1주택자 종합부동산세 폐지 등 감세를 추진하는 점도 '똘똘한 한 채' 선호 심리를 부추긴 영향도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준상급지의 매수세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준상급지 거래가 늘며 2022년 하반기 66.7%에 달했던 9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은 줄고 있다. 작년 하반기 52.2%를 거쳐 올해 상반기에는 49.3%로 떨어졌다. 대신 9억∼15억원 거래 비중이 지난해 하반기 29.3%에서 올해 상반기 32.1%로 증가했다.

거래량이 늘면서 실거래가도 상승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 거래된 서울 아파트의 실거래 최고가를 역대 최고로 가격이 높았던 2021년 하반기의 동일 단지·동일 주택형의 최고가와 비교한 결과, 고점 대비 88%까지 실거래가가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용산구의 상반기 거래가격은 2021년 하반기의 102%에 달해 역대 최고가 수준을 넘어섰다. 서초구의 경우에도 고점 대비 97.4%, 강남구가 96.8%를 기록하는 등 고가 주택 밀집지역의 가격 회복률이 높았다.

△종로구(95.6%) △성동구(90.4%) △마포구(90.4%) 등 도심 인기지역의 고점 대비 회복률도 90%를 넘어섰다.

부동산R114 관계자는 "똘똘한 한 채 선호도가 높아지며 지방 아파트값은 하락하는 데 비해 서울은 준상급지를 중심으로 매수세와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지고 있는 모습"이라며 "완연한 상승세로 평가하긴 이르지만, 서울 아파트 상승세가 지속되면 수도권·지방으로 오름세가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