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텀블러 방송에 요가부터 OOTD까지…콘텐츠형 모바일 라이브커머스의 변신

텀블러 방송에 요가부터 OOTD까지…콘텐츠형 모바일 라이브커머스의 변신

기사승인 2024. 06. 21. 16:3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단순 상품 판매 'NO'…스트레칭·착장법 등도 소개
clip20240621100817
지난 13일 저녁 8시 CJ온스타일 모바일 앱에서 진행된 '데일리 스탠리' 방송 화면 캡처.
CJ온스타일 등 모바일 라이브 업계가 콘텐츠형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를 필두로 영상 쇼핑 플랫폼 시장에 변화를 주고 있다. 텀블러 방송에서 상품 설명보다 요가 스트레칭과 오늘의 착장(OOTD) 등 콘텐츠를 주로 보여주는 등 단순 상품 소개를 넘어 '브랜드 이미지 셀링' 콘텐츠형 라이브를 적극 운영하는 방식이다.

21일 CJ온스타일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 13일 저녁 8시 자사 모바일 앱을 통해 '데일리 스탠리'라는 이름의 모바일 라이브 방송을 최초로 진행했다. 스탠리 텀블러 판매 성수기인 여름을 맞아 헬스 유튜버 심으뜸이 출연해 스트레칭 방법과 수분섭취 등 건강한 생활 루틴을 직접 알려주고, OOTD 등 콘텐츠를 제공하는 클래스 형식의 방송으로 진행됐다.

이는 단순히 상품 판매고를 올리는 데 집중하는 기존 방송 틀에서 벗어나, 협력사 브랜드 가치까지 전달하는 등 협력사 브랜딩과 커머스 효과를 동시에 잡기 위한 차별화된 방송 콘텐츠 시도 사례다. 실제 방송 당일 모바일 라방 시청자수는 39만명으로 기존 형태의 일반 라방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은 반응을 보였다.

이같이 CJ온스타일은 최근 기존 방송의 틀을 깬 콘텐츠형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 변신의 사례들을 속속 보여주고 있다. 스튜디오 안에 머물지 않고 스튜디오 밖 현장 분위기를 직접 보여주는 방송들도 이어지고 있다.

먼저 3월 '브티나는 생활' 2주년 특집 방송에선 브라이언 집을 실제로 찾아가 실제 살림꾼이 애용하는 진공방식 주방용기 바퀜, LG전자 식기세척기 등의 실사용기를 보여줬다. 당시 라이브 시청자는 19만명을 달할 정도로 많은 관심을 모았다.

4월엔 '양재천 키친 위크' 방송을 통해 양재천에 있는 사브르, 스켑슐트, 필리빗, 드부이에 등 프리미엄 키친웨어 플래그십 매장에서 일주일 간 쉐프들이 직접 출연하는 콘텐츠를 제작하기도 했다.

그외 기안84, 그루비룸 등이 출연한 갤럭시 론칭 쇼케이스, 가수 이하이가 출연한 AHC 신상품 쇼케이스, 걸그룹 프로미스나인 출연의 아메리칸 투어리스터 방송, 보이그룹 틴탑 출연의 바디프랜드 등이 다양한 콘텐츠형 모바일 라이브를 보여주는 사례로 꼽힌다.

업계 내 다른 사례들도 눈에 띈다. 롯데홈쇼핑의 경우 지난 1월 쇼호스트가 직접 수조 속으로 들어가 아쿠아리움 티켓 판매를 위한 수중 생방송을 진행해 인기를 끌었다. 최근엔 연애강의 수강권을 업계 최초 론칭해 이색상품까지 판매하고 있다.

CJ온스타일 관계자는 "영상 콘텐츠 커머스 글로벌 1위 사업자 경쟁력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콘텐츠형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를 지속 선보일 계획"이라며 "영상으로 쇼핑하는 라이프스타일을 선도하는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