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공수처 “채상병 특검은 별개…계속 수사할 것”

공수처 “채상병 특검은 별개…계속 수사할 것”

기사승인 2024. 06. 25. 16:33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공수처 측 "통신자료 확보하고 있어"
20231103_obYBEj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연합뉴스
'해병대 채상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야권에서 채상병 특검법을 통과시키더라도 "수사에 크게 미칠 부분은 없다"고 밝혔다. 현재 공수처는 사건 관련자들의 통신자료를 확보하는 동시에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의 3차 소환 시기도 조율하고 있는 상태다.

25일 공수처 관계자는 오전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에서 채상병 특검법안을 이달 내 임시 국회에서 처리하겠다고 한 것에 대해 "특검법이 통과되고 실제로 특검이 꾸려지는 과정에 시간이 걸릴 것 같다. 국회의 입법 논의와는 별개로 저희에게 맡겨진 임무를 계속해 수행해 나갈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채상병 사건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인 유 법무관리관의 향후 소환 일정에 대해서도 "3차 소환 계획이나 해야할 것 같다는 생각은 있는 걸로 알고 있다. 구체적인 일정은 듣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최근 남북관계 등 군에서 휴가를 반납하고 일해야 할 정도로 바쁘다"라며 "일방적으로 언제까지 나오라고 하기 어려운 상황이라 일정을 조율하는 과정"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21일 국회에서 열린 '채상병 특검법' 입법 청문회에서는 주요 의혹들에 대한 핵심 관계자들의 진술이 서로 엇갈렸다. 지난해 8월 2일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 임기훈 국가안보실 군사비서관과 수차례 통화한 것으로 전해졌다.

신 전 차관은 윤 대통령과의 통화에 대해 "당시 해병대 수사단이 경북경찰청에 이첩한 채 상병 사망사건 변사사건 기록을 회수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으나 이 전 장관은 "회수 지시와 무관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대통령 격노설'을 두고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은 "해병대사령관으로부터 분명하게 대통령 격노설에 대해 들었다"고 증언했으나 김계환 해병대사령관은 "공수처에서 수사를 받고 있어서 답변드릴 수 없다"고 일축했다.

주요 인물들의 진술이 엇갈리면서 수사를 맡고 있는 공수처의 통신자료 확보에 더욱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공수처 관계자는 "통신자료는 필요한 자료들은 확보했거나 확보하고 있는 걸로 안다. 통신자료 보관 기관이 1년으로 그 전에 필요한 자료를 빨리 확보해야 한다는 내용을 수사팀도 잘 알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